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농생대 정종훈 교수팀, 새로운 유전자 암치료법 개발
연구진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정종훈 교수, 샴하비 (박사과정), 반가지(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정필훈 교수, 정한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이소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연훈 교수 내용 및 의의 유전자 치료는 치료 핵산을 체내의 원하는 장기로 전달하여 세포 내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하여 질병을 치료 하는 것으로 암치료법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팀은 비타민 B6가 세포의 생장이나 증식에 필요한 DNA 생합성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대사에 작용하는데 착안하여, 비타민 B6와 폴리에스트 이민을 결합하여 ...

농생대 한재용 교수팀, 고효율 유전자 적중 닭 생산
연구진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한재용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박태섭 교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김진수 교수 내용 및 의의 국내 연구진이 보유한 생식선 줄기세포 원천기술을 이용한 형질전환 조류 생산 시스템에 고효율의 유전자적중 기술인 유전자가위법 (TALEN) 을 도입하여 유전자 기능유전체학 등의 기초연구, 신약개발 및 치료물질 대량생산을 위한 형질전환가금 품종개발 시스템을 확립함. 개발된 기술은 생물체 발생 및 기능제어와 동물모델 개발 등 기초·응용 생명공학 분야는 물론 달걀성분 조절을 통한 기능성 식품 및 단백질-신약을 포함한 신물질 생산을 목적...

용액공정으로 제작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성능을 규명하는 새로운 이론식을 개발
연구진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및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부 내용 및 의의 -용액공정기반으로 제작되는 투명 산화물 반도체는 유연한 투명 트랜지스터를 저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각광을 받고 있음. -특히, 산화물 반도체 기반 투명 박막트랜지스터(TFT)제작 기술은 차세대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구동 및 스위칭 소자에 적용되는 핵심기술로, 다양한 차세대 모바일 기기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 -이러한 측면에서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산화물 반도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개발하는 것은 모바일기기의 효율적인 에너지소비 측면(장시간의 ...

서울대 홍용택 교수팀, 늘어날수록 전기 저항 줄어드는 신축성 전극 개발
▲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왼쪽)와 김상우 연구원(오른쪽) 서울대는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신축성 전극을 개발했다. 이 전극은 모양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정상적인 기능을 하며, 크게 변형될수록 전기저항이 감소해 신축성 디스플레이, 전자 피부, 로봇 등의 개발에 활용될 전망이다. 그 동안 신축성 전극 개발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있었으나 난항을 겪어왔다. 초기 신축성 기반 위에 금속 박막을 제작하는 방식은 20~30% 이상의 신축이 어려웠다. 그 대안으로 떠오른 전도성 혼합 재료는 변형에 따라 전극의 전기저항이 증가하고, 높은 수준...

서울대 유상렬 교수팀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하는 『박테리오파지』 개발
연구진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유상렬 교수(교신저자), 김성미(제1저자), 김민식(공동 제1저자) 내용 및 의의 살모넬라균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식중독균이다. PCR과 같은 종전의 신속 식중독균 검출 기술은 살아있는 균과 죽은 균을 구별할 수 없어 정확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파지)가 살아있는 세균에서만 생장하는 것에 기반해 살아있는 식중독균만을 검출할 수 있는 파지, 즉 리포터 파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물발광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유전체 내에 삽입시킨 재조합 리포터 파지는 살모넬라균 생균(生菌)만을 특이적으로 단시간에...

빙하를 이용한 대기 이산화탄소와 기후변화 연구
연구진 ○본 논문의 제1저자 및 책임저자는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이며, 공동저자는 오레곤주립대 에드 브룩(Ed Brook) 교수이다. 내용 및 의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가 주도하고 미국 오레곤주립대(Oregon State University) 에드 브룩(Ed Brook) 교수가 참여한 연구팀은 남극 싸이플돔(Siple Dome) 빙하코어를 이용하여 과거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에 두 가지 방식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진은 빙하에 공기방울로 포집된 과거 공기를 추출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과거 대기 중의 이산화...

펩타이드 기반 나노필름 개발
연구진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이윤식 교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장형석 박사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이정호 박사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용선 박사과정 내용 및 의의 서울대학교 이윤식 교수, 남기태 교수팀은 단백질의 기본 성분인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나노 두께를 가진 대면적 필름을 개발하였다. 국내 연구진이 거미줄과 같은 탄성계수와 나노 크기의 두께를 가진 대면적 필름으로 자기 조립하는 펩타이드 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이 대면적 펩타이드 필름은 물의 표면장력을 이길 만큼 강하게 층층이 자기 조립된 이차원 나노 구...

빠르고 정확한 질병진단을 위한 바이오나노검지 기술 개발
□ 연구진 : ○본 논문의 책임저자는 서울대학교 화학부 남좌민 교수(40)이며, 공동 제1저자는 서울대학교 화학부의 이효진 박사와 박정은 학생이다. □ 내용 및 의의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남좌민 교수팀은 금 나노입자 화학, 이중나선 구조 DNA와 겔 전기영동을 이용한 마이크로 RNA 초고감도-다중검지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암을 더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진은 암 진단의 생체지표로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마이크로 RNA를 DNA 코딩 기술, 나노입자 화학 그리고 간편하고도 널리 쓰이는 겔 전기영동 시스템에 접목시켜...

치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주조직 형성에 필요한 저산소환경의 역할 규명
연구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정필훈 교수, 최화정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정종훈 교수 내용 및 의의 산소와 관련된 조직재건술에서 기존에는 고압산소가 연탄가스중독 치료와 재건술에서 이용되어 왔다. 이에 저산소증은 상대적으로 기존 조직재건술의 입장에서 보면 반대개념이었으나 본 연구에서 치아뿌리 백악질 재생에 영향을 미침을 최초로 발견하여 미국 조직공학회지 1월호에 표지저널로 게재되었다. 이는 저산소가 치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아뿌리 백악질 재생 표지자 단백질 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최초로 발견한 것이다. 즉, 고압산소뿐만 아니라 저산소 환경도...

서울대학교 정종훈 교수팀 줄기세포 분화 촉진용 생체모방형 나노지지체 개발
□ 연구진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정종훈 교수, 김장호(박사과정)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연훈 교수, 김연주(박사과정), 임혜진(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정필훈 교수, 임기택 박사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 김홍남(박사과정) □ 내용 및 의의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및 특정 세포로의 분화 촉진 기술은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거나 재생시키는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팀은 우리 몸 안에 있는 뼈, 피부, 신경 등의 조직 내 세포외기질이 다양한 나노사이즈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

양자 컴퓨터 개발 난제 해결에 돌파구 제시
국내 연구진이 SQUI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와 BEC (Bose-Einstein condensate)의 단일 뤼드베리 원자 (Rydberg atom)를 결합한 양자 복합 시스템으로 양자 컴퓨터의 기본 요소인 qRAM (quantum random access memory)의 처리속도와 정보 저장기간을 동시에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 양자 컴퓨터는 기존의 컴퓨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계산 성능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양자 컴퓨터에서 기존 컴퓨터의 비트(bit)와 같은 역할을 하는 큐빗(qu...

새로운 암 치료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표적 항암제의 내성 극복 방안 제시
□ 연구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이호영 교수 연구팀은 10월 16일 ‘integrin β3/Src 신호전달을 표적으로 한 인슐린유사성장인자 수용체 (IGF-1R) 표적 항암제의 내성 극복 방안’이라는 주제의 연구 수행 결과를 종양학 분야의 권위 있는 잡지인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JNCI; impact factor = 14.336)에 게재하였다. □ 내용 및 의의 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IGF-1R)(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은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