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체내에서 다수 생체분자 추적이 가능한 근적외선 라만산란 나노입자 개발
체내에서 다수 생체분자 추적이 가능한 근적외선 라만산란 나노입자 개발 - 암 세포 추적 및 항체신약 후보물질 선별에 활용 가능 □ 연구진 - 서울대학교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 및 화학생물공학부 이윤식 교수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정대홍 교수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호영 교수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김종호 교수 -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나노과학기술전공 강호만 박사과정 -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정신영 박사과정 □ 내용 및 의의 라만 분광법은 산란광에 의해 극미량 물질을 정성, 정량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나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측정 감도가 단분자 수준에 이르도록 크게 향...

조류인플루엔자의 생물학적 방어기작 오리 진화 유전체 분석으로 밝혀
연구진 : 국제 오리 컨소시엄 (중국 주도하에 9개국 50여명 참가) 한국 대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김희발 교수팀) 내용 및 의의 ●H5N1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아형으로 조류 인플루엔자로 알려져 있다. 이 조류 인플루엔자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 감염되는 능력이 점점 더 커지도록 진화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인플루엔자 중에서도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이고 있어 2013년 3월 기준으로 H5N1 바이러스는 60개 국가의 가금에서 발병하였으며 622명의 사람에 감염되었고 371명이 사망하여 치사율이 60%를 육박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위...

인간 유전체의 난제 통계기법으로 풀어
인간 유전체의 난제 통계기법으로 풀어 농생대 김희발 교수 공동연구팀 비만과 당뇨 등 한국인의 49개 다양한 복합형질의 분석 통해 ‘잃어버린 유전력’(missing heritability) 문제 해석 연구진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과 서울대 지주회사 자회사 ㈜조앤김 지노믹스, 국립보건연구원, 호주 퀸즈랜드 대학의 양지안 박사가 함께 얻은 성과이다. 내용 및 의의 우리는 2세를 위하여 배우자의 외모를 중요시하는 젊은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나의 외모가 정말 2세에 전달되는가? 그렇다. 외모뿐만이 아니다. 인간의 많은 복합형질은 유전인자가 결정적인 요인으...

RNA에 의해 유도 되는 유전자가위 개발
RNA에 의해 유도 되는 유전자가위 개발 -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발표,“21세기 생명공학의 원천기술”- 국내 연구진이 RNA에 의해 DNA를 인식하여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는 새로운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유전자가위(engineered nuclease)는 특정 DNA 염기서열을 인식해 절단하는 인공 효소로서,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 세포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교정하거나 변이를 일으키는데 사용된다. 기존의 유전자가위는 징크핑거 뉴클레아제와 탈렌(탈이펙터 뉴클레아제), 두 종류가 있는데 이들은 단백질이 DNA 염기서열을 인식해 결합한 후에 DNA를 자르는데...

액정 고무를 이용한 마이크로 펌프의 제작
액정 고무를 이용한 마이크로 펌프의 제작 (One-piece micropumps from liquid crystalline core-shell particles) □ 출판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Nature Communications) 2012. 11. 1(목) 온라인 판에 게재됨. □ 연구진 Eva-Kristina Fleischmann*, Hsin-Ling Liang, Nadia Kapernaum, Frank Giesselmann,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Jan P. F. Lagerwall (SNU) 교수*, Rudolf Zentel Jan P. F. Lage...

국내 기술로 신규 양극소재 원천 기술 확보
국내 기술로 신규 양극소재 원천 기술 확보 - 네이처 발간하는 온라인 자매지‘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보고 - 한계에 부딪혔던 리튬이차전지 양극소재 개발에 새 대안 제시 □ 연구진: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강기석 교수 □ 내용 및 의의 국내 연구진이 현재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대체할 고성능 신규 양극 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강기석 재료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불소화인산계 물질의 불소와 산소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4V의 높은 전압을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용 신규 양극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나시콘 계열의 나트륨 바나듐...

폐 선암 대규모 유전체 분석으로 원인유전자 변이 규명
□ 연구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유전체의학연구소 (Genomic Medicine Institute: 소장 서정선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김영태 교수)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강진형 교수) 서정선 교수 김영태 교수 강진형 교수 □ 내용 및 의의 -차세대 게놈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대규모 폐 선암 유전체 분석 -새로운 폐 선암 유발 후보 융합유전자 및 다양한 유전자 변이 발굴 -흡연이 폐암 발생에 미치는 광범위한 유전적 영향 확인 -폐암 맞춤치료의 필수 기술로서 RNA 전사체 분석 기술의 실용화 □ 연구진 소개 최초로 한국인 유전체 전체 염기서열을 ...

세리아 나노입자를 이용한 뇌졸중 치료제 세계 최초 개발
세리아 나노입자를 이용한 뇌졸중 치료제 세계 최초 개발 - 서울대병원과 기초과학연구원/서울대 공대의 공동연구로 나노 공학과 생명 의학의 융합 연구로서의 개가 - 세계적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인용지수: 13.455)에 출판 - 생체 내에 세리아 나노입자를 투여하였을 때 뇌경색의 크기와 경색 주위의 세포사가 감소하는 현상을 통해 세리아 나노입자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이승훈 교수 현택환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장인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중견석좌교수와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 공동 연구팀은 희토류의 일종인 세리아를 이용하여 3nm의 균질...

의료용 다기능성 나노입자 제조의 획기적 방법 개발
□ 연구진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정재민 교수 연구팀. 이영경, 양보연, 이윤상, 라티카,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 내용 및 의의 : 본 연구진은 의료용으로 이용 잠재력이 매우 높지만 제조하기가 어려웠던 다기능성 나노입자의 개발에 가장 중요한 기술적 장벽을 해결하였다. 이는 기능성 엠피파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엠피파일은 친수성과 소수성인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는 분자를 말한다. 나노입자는 의학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에를 들면 나노입자는 방사성동위원소, 반도체, 자성체, 폴리머 등으로 만들 수 있고, 이를 인체에 투여하여 암을 비롯한 ...

유방암 환자를 위한 ‘하이콘텐트(다표적 동시검출) 진단법’ 개발
유방암 환자를 위한 ‘하이콘텐트(다표적 동시검출) 진단법’ 개발 맞춤형 항암제 치료 발전에 큰 기여할 것으로 기대 연구자 : 송준명 교수 외 소 속 : 약학대학 나노메디슨연구단 내용 및 의의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송준명(宋俊明, 45) 교수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하이콘텐트 세포이미징 시스템을 활용해 유방암 환자 시료의 서브타입 판별에 이용되는 다양한 바이오마커들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새로운 유방암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큰 이질성 (Heterogeneity)을 가지는 유방암 세포들은 유전자형에 따라서 서브타입을 가지고 있어 서브타입에 맞는 약물치료가 이뤄지고 있...

디젤 엔진 배기가스 저감용 백금 촉매를 대체할 산화물 촉매 개발
□ 연구진 -공대 WCU 멀티스케일 기계설계 전공(Multiscale Mechanical Design) 조경재 교수, 미국 실리콘 밸리의 벤처회사 Nanostellar □ 내용 및 의의 디젤 엔진은 연료 효율이 가솔린 엔진보다 20-40% 높아 고갈되고 있는 석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엔진에서 발생하는 공해 물질이 많고 독성이 강한 단점이 있다. 디젤 배기가스가 최근에 WHO에 의해서 발암 물질(group 1 carcinogen)로 위험 등급이 상향되면서, 배기가스의 효율적인 저감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