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한국여성 유방암 급증 식습관 때문
한국여성 유방암 급증 식습관 때문우리나라 유방암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고지방식 식습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의대 유근영·노동영·강대희 교수팀과 국립암센터 김연주 박사팀, 서울아산병원 안세현 교수팀은 2004∼2005년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 690명과 1380명의 건강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잘못된 지방 섭취가 유방암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 결과는 국제적 저명 학술지인 ‘암 역학과 생체지표’ 2월호에 게재됐다. 이 연구에 따르면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수치(...

지구환경과학부 석사 김혜민씨, 독도 해역서 신종 박테리아 2종 발견
지구환경과학부 석사 김혜민씨, 독도 해역서 신종 박테리아 2종 발견 지구환경과학부 김혜민(28)씨는 독도 인근 해역 탐사에서 발견한 신종 박테리아 2종에 대한 학위 논문으로 2월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김 씨가 독도 인근 해역을 연구하기로 마음먹은 것은 이 지역이 상대적으로 인간의 때를 덜 탄 청정지역인 덕분에 종 다양성이 잘 보존돼 있어 새로운 미생물 발견에 최적지였기 때문이었다. 김 씨는 “일본 학계는 독도 인근 해역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놨는데, 우리는 우리 바다인데도 관련 연구도 많지 않은 데다 기존 연구도 정리가 잘...

의대 신민섭 교수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 게임 개발
의대 신민섭 교수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 게임 개발 의과대학 신민섭 교수팀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들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컴퓨터 게임이 개발했다. 신민섭 교수팀 등 공동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집중력 향상 게임을 ADHD 아동에게 하도록 한 결과 충동성과 집중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ADHD 아동 26명에게 일주일에 한 번 30분씩 10주간 게임을 하고 충동성과 주의력 변화를 관찰했다. 이 결과 충동성은 훈련 전 평균 70.2(65점 이하 정상)에서 훈련 후 56.2점으로 감소됐다. 또 주의력은 훈련 전 42.7에서 50...

서울대의대, "수술 후 항생제 사용, 수술 전 사용 대비 감염위험 8.2배"
서울대의대"수술 후 항생제 사용, 수술 전 사용 대비 감염위험 8.2배"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팀은 수술 전 감염 예방 목적으로 항생제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아 감염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김윤 교수팀은 2006년 9~11월 전국 500병상 이상 20개 의료기관에서 18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심장수술과 자궁적출술, 위절제술, 대장수술, 고관절 및 슬관절 치환수술 등 2천924건을 분석한 결과, 예방적 항생제 투여율이 미국보다 크게 낮았다고 30일 밝혔다. 분석결과 수술 부위 절개 전 1시간 이내 예방적 항생제 투여율은 65.5%...

뇌졸중 환자 신경세포 죽어가는 원인 찾았다
뇌졸중 환자 신경세포 죽어가는 원인 찾았다치대 이성중 교수팀이 뇌졸중 환자의 신경세포가 사멸되는 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교수팀은 뇌 속에 있는 ‘소교세포’라는 세포가 뇌졸중 환자에게 2차적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뇌분야 국제학술지 ‘브레인’ 최근호에 발표됐다.뇌졸중은 물리적·심리적 충격으로 뇌혈관이 파괴되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는 현상인데 초기 신경세포 사멸 이후 2차적으로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간다. 소교세포란 신경세포와 별도로 뇌 속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를 말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

설재홍교수팀 암 치료제 개발에 중요 단서 제공
설재홍교수팀 암 치료제 개발에 중요 단서 제공 생명과학부 설재홍 교수팀은 세포분열기에 손상된 세포가 회복되도록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단백질(Chfr)이 암 발생과 전이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세포주기 조절은 암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세포가 손상되면 세포는 세포주기를 멈추고 손상을 복구한다. 그러나 세포주기 조절 시스템에 이상이 생기면 손상이 복구되지 않은 채 세포주기가 계속되므로 손상이 누적돼 암으로 이어지게 된다. Chfr는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Chfr가 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

서울대병원, 임신성 당뇨병 유전자 세계 첫 발견
서울대병원, 임신성 당뇨병 유전자 세계 첫 발견분만시에 거대아(출생 체중 4kg 이상) 출산의 위험이 증가하고 난산을 비롯한 출산 전후의 태아와 산모의 각종 합병증을 증가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중 하나인 임신성 당뇨병의 유전자가 세계 처음으로 밝혀졌다. 서울대학교병원 박경수, 조영민 교수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장학철 교수팀은 공동 연구를 통해 한국인 임신부에서 발생하는 임신성 당뇨병의 유전적 원인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임신성 당뇨병이 출산과 함께 사라진 후에 약 5~10년이 경과하면서 제2형 당뇨병(당뇨병의 가장 흔한 유형)이 약 절반의 환자에서 발생하는데 초...

오우택교수 신 유전자 발견, BRIC 선정 2008년 10대 연구성과
오우택 교수 신유전자 발견, 2008년 BRIC의 10대 연구뉴스로 선정오우택 교수의 연구성과가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브릭)가 발표한 2008년 10대 바이오 뉴스에 선정되었다. 오교수 연구팀은 상피세포를 통한 수분 및 전해질 분비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염소이온 통로의 새로운 유전자인"아녹타민1(Anoctamin 1)"을 발견해 지난 8월 '네이처'지에 게재해 화제를 모았다. 염소이온 통로는 세포에서 침, 눈물, 땀 등 수분을 분비하고 콩팥과 위장의 흡수를 일으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 통로의 유전자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오우택 교수는 생물정보학 기법을 ...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 마이크로 RNA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 마이크로 RNA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이 세포 내에서 여러 유전자의 발현 과정을 조절하는 물질인 마이크로 RNA(miRNA)가 생성되고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해냈다. 학계에서는 이 연구결과를 암 발생의 새로운 경로를 확인한 것으로 평가하고 치료의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빛내리 교수와 박사과정 한진주 씨는 세포 내의 효소 드로셔(Drosha)와 ‘DGCR8’이라는 단백질 복합체가 상호 조절작용을 통해 miRNA가 일정한 활성과 양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miRNA는 세포에서 유전자 ...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팀, 지구 상부맨틀 암석 특성변화 메커니즘 규명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팀, 지구 상부맨틀 암석 특성변화 메커니즘 규명 국내 연구진이 지하 수십㎞의 상부 맨틀에서 주요 구성암석인 감람석이 고온고압에 놓이면 지진파의 속도와 방향 등에 영향을 주는 격자구조 방향성이 크게 변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팀은 지구 내부로 깊이 들어갈 때 발생하는 3만기압(3㎬) 정도의 고압이 맨틀의 60~70% 정도를 차지하는 감람석 격자 선호방향(CPO)에 극적인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지각판들이 충돌하는 지진 위험대 아래의 맨틀 운동과 지진파 속도 ...

생명과학부 김경진 교수팀, 부신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주기성 조절메커니즘 규명
부신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주기성 조절메커니즘 규명 스트레스 호르몬의 하나인 '코티솔' 합성과 분비가 하루주기에 따라 조절되는 과정을 생명과학부 김경진 교수팀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김 교수팀은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지난 수십 년간 신경 내분비학 분야의 수수께끼 중 하나였던 부신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주기성 조절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인간을 포함한 거의 모든 생명체는 내부에 생체시계가 있어 수면과 신체 대사율, 호르몬 분비, 혈압 등 생리현상 대부분이 하루 주기의 리듬으로 유지된다. 좌우 콩팥 위에 있는 내분비샘인 부신에서 합성, 분비되는 대표적인 스...

이정원ㆍ박기훈 교수 교수팀, '간암 치료' 획기적 물질 개발
이정원ㆍ박기훈 교수 교수팀, '간암 치료' 획기적 물질 개발 국내에서 위암 다음으로 사망률이 높은 간암의 생성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획기적인 신약후보 물질이 이정원ㆍ박기훈 교수팀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대 이정원 교수와 경상대 박기훈 교수팀은 간암의 생성, 전이 등의 주요 원인 단백질로 확인된 'TM4SF5'를 제어할 수 있는 'TSAHC'(천연물 유래 신약 후보 물질)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논문은 간(肝) 연구 세계 최고 권위지인 '헤파톨로지'(Hepatology) 인터넷판에 게재됐다.이 교수와 박 교수는"이번 연구결과 한국인 간암 환자들의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