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의류학과 최정화 교수, 의복과 에너지 절약 연구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최정화 교수팀은 여름철에 넥타이를 풀고 셔츠 차림으로 일하면 체감온도와 습도가 떨어져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를 거둔다는 것을 증명했다. 최 교수팀은 ‘의생활과 건강’이라는 제목의 연구에서 28도에서 셔츠에 넥타이를 착용했을 때의 의복 내 온도는 33.7도로 같은 온도에서 넥타이를 매지 않은 의복 내 온도(33.5도)보다 0.2도 높았다고 밝혔다. 이는 여름철 가벼운 옷차림이 작업능률을 낮추지 않으면서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는 통념을 뒷받침한다. 인체와 옷 사이의 온도는 통상 32도 내외일 때 쾌적함을 느...

의과대학 신동훈 교수의 미라 연구
의과대학 신동훈 교수가 미라를 통해 과거의 미시사를 복원하는 가칭 '한국미라 연구를 위한 학제간 연구모임'에 참여해 과거의 질병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 꽤 여러 건의 미라가 우리 나라에서 발견되었다. 2001년 경기 양주 해평 윤씨 묘역에서 소년 미라가 발견된 이래, 2002년에는 경기 파주 파평 윤씨 묘역에서 조선 중기 세도가 윤훤형의 증손녀가 세계 최초로 모자 미라 형태로 발견됐다. 또 2004년에는 대전에서 현존 최고의 조선 미라인 어모장군 송희종의 미라가 출토되었다. 이 밖에 청주와 연기, 부안, 장성,...

언어연구소, 대검찰청과 합동 연구로 목소리 구분하는 과학수사 기술 개발
서울대 언어연구소와 대검찰청의 합동 연구로 개인별 목소리를 완벽에 가깝게 구분할 수 있는 성문인식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팀은 일란성(一卵性) 쌍둥이 50쌍의 목소리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이들이 유전자는 동일해도 개인별 음성의 특징인 성문(聲紋·voiceprint)은 차이가 뚜렷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란성 쌍둥이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다면, 일반 범죄자의 목소리를 거의 완벽하게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대검찰청은 연구 결과를 유괴범죄나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등의 수사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

송지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출간
송지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가 옛 기록 속에서 찾아낸 우리 음악인 28명의 이야기를 모아 [마음은 입을 잊고, 입은 소리를 잊고] 를 출간하였다. 송 교수는 옛 기록에 한 두 줄 남아 있는 기록 속에서 우리 음악인들의 이야기를 찾아내어 이 헌사를 지었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는 정조나 세조와 같은 음악을 좋아했던 국왕도 있고, 악학궤범(樂學軌範)을 만든 성현(成俔) 같은 사대부도 있고, 크게 알려지지 않은 해금 명인 류우춘, 비파의 달인 송경운, 거문고의 대가 김성기, 여성 가수 계섬과 석개 등도 포함되어 있다. "실록 같은 공식 기록 속에는 우리 음악인에 ...

서울대병원, 두 살배기에 제새동기 삽입 첫 성공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노정일·배은정 교수와 소아흉부외과 김웅한 교수팀은 악성 소아 부정맥으로부터 어린이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수술법을 국내 처음으로 시도해 성공하였다. 악성 소아 부정맥은 어린이 심장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연구팀은 QT 연장 증후군, 심실세동 및 심근증을 가진 만 2세인 정모 환자에게 최근 수술로 제세동기를 삽입해 심장마비의 위험으로부터 아이를 구하는 데 성공했다. 생후 3일째 숨쉬기 힘들어 병원을 찾은 정군은 병원에서 약물치료를 하기 시작했으나 생후 3개월 때 갑자기 의식을 잃으면서 응급실을 찾았다. 당시에 심실세동(잔떨림)이라고 하는 치...

전기컴퓨터공학부 이범희 교수 연구팀, 침입자 잡는 로봇 개발
공과대학 전기컴퓨터공학부 이범희 교수 연구팀의 박중희ㆍ최정식 연구원은 로봇이 은폐물을 이용해 침입자를 잡는 은신주행기법을 개발했다. 방범로봇이 도둑이나 탈옥수를 체포하고자 할 때 단순히 목표물을 쫓아가는 방법 대신, 목표물 뒤에서 웅크려 접근하거나 그늘에 숨어서 목표물에 다가갈 수 있어야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다. 연구팀이 설계한 로봇은 도둑의 시야를 피하기 위해 은폐물 뒤에 숨어있거나 장애물 사이를 민첩하게 이동해 도둑에게 접근한다. 연구팀은 은신주행기법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도 제작했다. 이 시뮬레이터는 로봇과 은폐물의 크기, 목표물의 속도를 고려해 실제와 유...

동양화과 김병종 교수 개인전 [황홀] 열어
미술대학 동양화과 김병종 교수가모로코·알제리·튀니지를 돌며 받았던 감흥을 화폭에 옮긴 그림을 모아 <황홀>이라는 이름의 개인전을 열었다. 김병종 교수는 2006년 쿠바와 멕시코 등 라틴아메리카 7개국을 돌아본 뒤 2008년에는 북아프리카로 발걸음을 돌렸다. 그곳에서 거칠 것 없는 햇빛에 질세라 원색(原色)의 힘을 뿜어내는 풍경을 들여다봤다. 그가 카리브해를 돌며 받은 라틴기행의 감동이 작렬하는 빛에 있었다면, 북아프리카 기행에서는 태양을 안은 관조적인 원색이 드러난다. 모로코에서 찾아간 정원을 그린 〈마조렐 정원〉은 나무와 꽃에서 생명력이 뿜어져...

전기공학부 권성훈 교수, 생체세포칩 제작 기술 개발
전기공학부 권성훈 교수가 미세한 유체관에서 3차원 복합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권성훈 교수팀은 머리카락 두께의 미세 유체관에서 반도체 공정의 기본 기술인 포토리소그라피를 이용, 3차원 하이드로젤 내부의 서로 다른 세포들이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구조물의 제작 방식을 개발했다. 권 교수는"3차원 융합 제조 공정으로 살아있는 세포를 3차원으로 배열해 생체 내의 복잡한 조직 구조를 모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세유체공학과 3차원 마이크로 제조공정을 합친 기술로, 기존에 비해 공정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물질이 섞인 복합 구...

김현희 교수, 신장암 수술시 복강경 수술이 더 안전
김현희 교수, 신장암 수술시 복강경 수술이 더 안전서울대병원 비뇨기과 김현희 교수가 신장암 수술시 단일절개 복강경수술 (환자의 배꼽에 한 개의 구멍을 뚫고 수술하는 방식)이 기존의 방식보다 안전함을 증명했다. 김 교수는 2008년 12월 국내 최초로 단일절개 복강경 수술을 통해 신장적출술에 성공한 후 최근까지 비뇨기계 수술에 이 수술법을 적용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존수술법보다 통증이 적고 수술후 재원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은"단일절개 복강경수술에서 수술 시간, 출혈량,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은 기존의 수술법...

이동규 교수, 세종대왕 측우기 이용해 최신 논문 발표
이동규 교수, 세종대왕 측우기 이용해 최신 논문 발표지구환경과학부 이동규 교수는 조선시대 측우기의 관측자료를 이용해 과거 220년 간 한반도의 강우 패턴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교수는 이 논문에서, 지난 221년(1777~1997년)의 강우 기록을 분석해보니 40년과 60년 주기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강우 주기로는 이보다 짧은 여러 학설들이 제시돼왔는데, 이번엔 세계에서 가장 긴 221년의 기록을 분석해 40년과 60년이라는 장주기의 패턴을 보여주었다는 데 이번 논문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이동규 서울대 교수(지구환경과학...

권성훈 교수, 나노입자로 새로운 잉크 개발
권성훈 교수, 나노입자로 새로운 잉크 개발서울대 전기공학부 권성훈 교수는 색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인쇄 후에 색상도 바꿀 수 있는 잉크를 개발해 '네이처 포토닉스'에 발표했다. 권교수가 개발한 새로운 잉크는 나비의 날개나 딱정벌레 껍질과 같은 기존 염료로 표현하기 불가능한 색을 자유롭게 인쇄하고 카멜레온과 같이 인쇄 후에 색상을 바꿀 수도 있다. 자기력이 가해지면 스스로 조립해 특정 색깔의 빛을 반사시키는 구조를 이루는 자성 나노입자와 광 경화 물질을 혼합해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물질의 색이 변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진은 미세 자외선 패턴기술인 '마스...

물리천문학부 임지순 교수, ‘아시아 전산재료과학 총회상’ 수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임지순 교수(58)가 2009년 9월 9~11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5회 아시아 전산 재료과학 총회’(ACCMS-5, Asian Consortium on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에서 ‘총회상’(ACCMS Award)을 수상하고 기조연설을 하였다. ACCMS는 전산재료 분야에서 아시아 연구자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촉진을 위해 2000년 출범하여 2001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고 있으며, 베트남에서 열린 올해 27개국에서 참여하여 아시아 지역을 넘어서는 국제학회로 확대 발전하였다. 총회상은 전산 재료과학 분야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