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독어독문과 전영애 교수, 괴테시 완역 발간
독어독문학과 전영애 교수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1749~1832)의 시 전편을 완역해 <괴테 시 전집>을 출간하였다. 1994년에 시작해 매주 여러 교수들이 참여하는 '괴테독회'를 통해 번역을 시작해 완역까지 무려 15년이 걸린 노작이다. 수록된 시는 모두 770편으로, 괴테가 7세 때 쓴 할아버지에 대한 문안시, 슈베르트의 가곡으로 유명한 '들장미', 팔순을 눈앞에 둔 1828년에 쓴 '떠오르는 보름달' 까지 괴테가 전 생애에 걸쳐 쓴 시를 아우르고 있다. <괴테 시 전집>은 이를 초기시, 질풍노도, 장년기 초기의...

이주형 교수팀, 구법승 연구자료 저서로 발간
고고미술사학과 이주형 교수 연구팀은 '구법승'들에 대한 3년간의 연구 결과를 모아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을 발간하였다. 구법승(求法僧)이란 인도로 직접 떠나 붓다의 유적을 참배하던 승려들을 말한다. 3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많은 동아시아 승려들이 불교 발상지인 인도로 떠났고, 문헌에 이름이 알려진 구법승만 적어도 165명이다. 현장·법현 등 중국 승려들이 대부분이지만 혜초 등 고구려·백제·신라 승려들과 일본 승려도 있었다. 이들 구법승은 불교사나 동서교류사뿐 아니라 불교미술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들의 인도 방문이 경전과...

서유헌교수, 강석진 교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의과대학 서유헌 교수와 수리과학부 강석진 교수가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수상자들에게는 대통령 상장과 부상으로 상금 3억원이 수여되었다. 수리과학부 강석진 교수는 표현론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리(Lie) 대수학’에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 그는 ‘영 월(Young wall)’ 이라는 독창적인 수학이론 모델을 창안했다. 의과대학 서유헌 교수는 새로운 치매 원인 물질을 알아내는 등 뇌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그는 치매를 유하는 물질로 뇌 속에 있는 작은 단백질의 일종인 ‘베타펩티드’보다는 다른 단백질인 ‘C단...

서울대박물관, 올해의 우수활동상 수상
서울대학교박물관(관장 송기호)은 2009년 5월 25일자로 한국박물관개관 100주년을 맞아 한국박물관협회에서 제정한 제1회 <한국박물관·미술관 올해의 우수활동상 -기획전시 부문->을 수상하였다.이 상은 국내 국공립, 사립, 대학 박물관·미술관이 2008년에 실시한 기획전시 중 가장 우수한 전시를 선정하여 수상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박물관은 2008년 하반기에 <몽골, 초원에 핀 고대문화> 특별전을 성황리에 개최한 바 있다. 당시 몽골 국립박물관 및 고고학연구소의 협조로 청동기시대 및 초기철기시대 유물을 중심으로 해당 전시를 개...

에너지자원공학과 민기복 교수, '응용암석역학연구상' 수상
공대 에너지자원공학과 민기복 교수가 미국암반공학협회(ARMA)가 수여하는 `2009년 응용암석역학연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민 교수는 '균열암반의 수리역학: 시추공 시험, 용질이동 및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이라는 논문의 공동저자로서 경제적ㆍ친환경적 암반공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동영 교수, 유럽 알레르기학회에서 포스터상 수상
김동영 이비인후과 교수가 폴란드에서 열린 제28차 유럽 알레르기학회에서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김동영 교수가 발표한 포스터는 ‘흡입 항원에 대한 새로운 항원 섭취 체계의 발견: 비강 M 세포’에 관한 것으로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원인물질이 몸속으로 들어오는 과정에 관여하는 M세포를 비강에서 처음으로 발견해 보고한 연구다. 포스터상은 자신의 연구 성과를 가로 90㎝, 세로 150㎝ 크기 한 장의 포스터로 요약하는 포스터 논문 발표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연구자에게 수여된다. 2009. 6. 26서울대학교 연구처

의대 김태유 교수, 보령암학술상 수상
의과대학 종양내과 김태유 교수가 보령제약과 한국암연구재단이 공동 제정하는 '제8회 보령암학술상'을 받았다. 김 교수는 암을 발생하게 하는 양대 축인 암 유전자와 에피지네틱(epigenetic: 후성유전학적) 변이에 관한 연구를 통해 맞춤형 항암치료에 기여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김 교수는 2005년 폐암에서 암세포에 성장신호를 전달하는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항암제에 대한 반응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밝혀냈다. 김 교수는 연구결과를 <임상종양학저널>(Journal Clinical Oncology)에 게재하고...

재료공학부 김상국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김상국 교수가 15년간 나노스핀 역동학을 연구한 성과를 인정받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선정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하였다. 잔잔한 호수에 작은 돌멩이를 던지면 동심원의 물결이 퍼져나간다. 자성체(자성물질)에 에너지를 가하면 자성을 띤 원자들이 가지고 있는 스핀상태가 파동 형태의 집단적인 동적 움직임을 보인다. 스핀파동이다. 최근 마이크론 크기의 자성박막에 정상파로 존재하는 스핀파의 고유모드를 이해하기 위한 학문적 관심이 높다. 또 이를 이용한 초고속 정보전달 및 정보처리 소자로서의 응용성이 다양해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사회학과 임현진 교수, "한국은 '소강(小康) 강중국(强中國)'이 되어야"
사회학과 임현진 교수가 <지속가능한 한국 발전모델과 성장동력>을 공저로 출판하고, 한국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소강(小康) 강중국(强中國) 모델'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현진 교수는"성장과 분배, 개발과 보전, 종속과 자립의 이분법을 넘어서야 한다"면서"향후 몇 년 안에 국민소득 3만달러를 이룬다거나 G10이 되겠다는 가시적인 목표가 아니라, 한국의 여건에 맞는 발전모델을 만들어내는 일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소강(小康)'은 동양고전 《예기(禮記)》〈예운(禮運)〉편에 나타나는 말로,"대도(大道)가 행해지고 천하가 모두 만인의 것이 되는" 정...

야블론스키 교수팀, 암컷과 수컷의 공진화 과정 밝혀
야블론스키 교수팀, 암컷이 수컷을 선택한다. □ 연구진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한창석 (석사과정), 표트르 야브원스키 (교수) □ 내용 및 의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행동생태 및 진화 연구실(http://www.behecolpiotrsangim.org/index.php)의 한창석 석사과정생(26)과 표트르 야브원스키 교수(50)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수컷 구애 신호의 진화 메커니즘을 소금쟁이 행동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냈다. 일반적으로 수컷 소금쟁이는 암컷의 등 뒤로 올라타 강제로 짝짓기를 시작한다. 이것은 암컷의 생식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생명과학부 정용근 교수, 간암 조절하는 유전자 발견
생명과학부 정용근 교수가 간암세포주에서 암세포 죽음을 조절하는 AK2 유전자를 발견해 간암 치료의 새 전기를 마련하였다. 정용근 교수는 1985년 석사 과정 시절부터 수많은 유전자로부터 특정 기능을 지닌 유전자를 골라내는 ‘클로닝’(cloning) 연구를 해 왔다. 유전자에 대해 아는 게 거의 없던 시절이다. 1993년 미국 하버드 의대에서 박사후연수 과정을 밟게 된 그는 연구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당시 그가 참여한 위안쥔잉 박사(Dr. Junying Yuan) 팀이 세포죽음에 ‘캐스페이즈’(caspase)란 유전자가 관련돼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다...

국악과 이지영 교수, 가야금 앙상블을 위한 음악극 '거울' 초연
음악대학 국악과 이지영 교수가 시인 이상(李箱)의 시를 모티브로 한 가야금 앙상블 공연을 열었다. 이번 작품은 시인 이상(李箱)의 동명(同名) 시에서 착안해서 죽음과 삶, 꿈과 현실의 경계를 포착하려고 한 작품으로, 2002년 다름슈타트에서 작곡상을 수상한 김남국씨가 작곡과 영상, 시나리오를 맡고 이 교수가 연주와 퍼포먼스를 한다. 이지영 교수는 이번 공연에서 가야금을 '얌전히' 연주할 뿐 아니라, 노래와 독백을 하고 메가폰을 통해 괴성을 내며 걷기도 하고 울기도 하면서 '온몸으로' 연주한다. 이지영 교수와 김남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