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양자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의 다체물리 응용
물리천문학부 김도헌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김도헌 교수 연구팀이 기존연구와 차별적으로 다양한 오류 완화 기법을 적용하여 양자컴퓨터에서 정제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해 기존에 이론적으로만 제시된 하이브리드 방식이 적용 가능성과 유용성이 높음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고 밝혔다.

마그마에서 황화물의 부유가 해저 열수 광상에 금과 동을 공급한다
지구환경과학부 박정우 교수 연구팀
지구환경과학부 박정우 교수 연구팀이 파투카파 화산암의 암석학적/지구화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제안된 메커니즘을 뒷받침할 수 있는 최초의 증거를 찾았으며 실제 자연계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엑소시스트에 의한 세포 외 분비 조절 메커니즘의 단분자 수준 규명
생명과학부 윤태영 교수 공동연구팀
생명과학부 윤태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엑소시스트 복합체를 성공적으로 정제한 후, 다양한 단분자 형광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SNARE 단백질 형성 과정 및 소포 융합 과정에서 엑소시스트의 역할을 밝혀냈다.

농업생명과학대학 김영훈 교수팀, 프로바이오틱스와 바이오차의 혼합 급여에 따른 반추위 메탄저감 가능성 제시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이 프로바이오틱스균주인 Escherichia coli strain Nissle 1917과 biochar를 함께 처리하는 것이 반추위액 in vitro fermentation에서 메탄 생성을 저감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대용량 빛 정보의 장거리 전달 플랫폼 구현 성공
전기정보공학부 유선규 교수·박남규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유선규 교수·박남규 교수팀이 광집적회로에 위상학적 설계 기법을 도입하여, 노이즈에 강한 광대역 신호처리 플랫폼 구현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폼팩터의 소프트 전자소자 제작하는 ‘선택적 금속 박막 증착 기술’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팀이 다양한 형태의 고성능 소프트 전자소자 및 회로를 쉽고 제작할 수 있는 ‘프린팅 기반 선택적 금속 박막 증착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구글 픽셀폰 등 안드로이드폰 해킹 위험 높이는 ARM CPU 보안 취약점 발견
전기정보공학부 이병영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영 교수 연구팀이 영국의 반도체 설계 기업 ARM 계열 CPU에 내장된 MTE 기능의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전력 소비 없이 실내 온도 낮추고 빗방울로 전력 생산하는 다기능 스마트 창문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응용 나노 및 열공학 연구실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전력 소비 없이 실내 온도를 낮추고 빗방울의 마찰 전기를 활용해 전력도 생산하는 ‘다기능 스마트 창문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주사 바늘로 수술없이 뇌질환 진단하는 생분해성 전자 텐트 개발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 연구팀이 주사 바늘로 뇌질환 진단이 가능한 생분해성 전자 텐트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다기능 허리 동작 보조 웨어러블 로봇 개발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팀이 척추 부상 예방과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에 도움을 주는 허리 동작 보조 웨어러블 슈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