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패혈증비브리오균 차세대 제어 기술 기반 구축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 연구팀이 패혈증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전사조절자 전체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혈증비브리오균의 차세대 제어 기술 개발의 기반을 구축한 연구 결과를 최근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Nucleic Acids Research’에 발표하였다.

장 손상 치료의 열쇠, PHF16: 줄기세포 복구와 재생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팀
연구팀은 장의 재생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단백질 PHF16의 기능을 규명하며, 재생줄기세포와 장 줄기세포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밝혀냈다.

우주에서 화학실험실을 발견하다.
물리천문학부 이정은 교수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이정은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약 537광년 떨어진 태아별 B335를 대상으로, 고감도·고해상도 전파간섭계인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ALMA)를 활용하여 약 10년에 걸친 추적 연구를 통해 생명 발현에 중요한 복합유기분자의 실시간 변화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네딜화의 세포 내 리셉터 기능 조절 연구
의과대학 전양숙 교수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양숙 교수팀은 네딜화에 의한 세포 수용체들의 기능 조절 및 병태 생리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뇌졸중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유연 변형률 센서 개발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재료공학부 강승균 교수 연구팀이 단국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 퍼듀대학교(Purdue University) 연구팀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민감도를 가진 변형률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유도 성상교세포의 신경가소성 증강 효능을 이용한 뇌경색 후유증 치료 및 기전 연구
치의학대학원 장미숙 교수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장미숙 교수 연구팀이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고성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적 권위의 과학 학술지 Molecular Therapy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레지오넬라균 유래 HEPN-MNT 독소-항독소 시스템의 독특한 조절 기전에 대한 구조적 고찰
약학대학 한병우 교수 공동연구팀
인체에는 존재하지 않으면서, 병원균의 자살을 유도할 수 있는 독소-항독소단백질 HEPN-MNT 단백질의 구조생물학적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포문을 열었다.

실크의 인공방사를 위한 생체모사 친환경 공정 개발
농림생물자원학부 이기훈 교수팀
연구팀은 누에 실샘 내에 가장 풍부한 칼슘 이온이 실크 피브로인의 액체-액체 상분리를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작물 역병에 대한 비기주저항성 유전자 동정기술 개발
식물면역연구센터 최도일 교수팀
서울대학교 식물면역연구센터 연구진(과제책임자: 최도일 석좌교수, 연구원 오수현 박사)은 유전체정보 분석 및 실증실험을 통하여 아이랜드 대기근 병원체인 감자역병균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들이 다른 작물을 침해하는 다양한 역병균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매개할 수 있는 비기주저항성 유전자임을 밝혀 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11월 20일 게재하였음.

40~69세 사이의 제2형 당뇨 환자에서 DPP4 억제제에 비교한 SGLT2 억제제의 치매 위험에 대한 효과
의과대학 강은하 교수팀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불치병인 치매 그리고 치매 발생위험이 2배 증가하는 당뇨라는 측면에서, 기존 당뇨치료제 중 하나인 SGLT2 억제제의 치매 예방 및 진행 지연 가능성에 대한 clue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