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인간 뇌 발달 과정에서의 유전체 3차원 구조와 후성유전체 변화 규명
의학과 이동성 교수 공동팀
의학과 이동성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간 뇌 후성유전체 발달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자연지능의 효율적 정보처리를 위한 ‘핵심 정보 추출 뇌 회로’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공동연구팀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와 심리학과 이수현 교수 공동연구팀이 영장류의 ‘핵심정보추출 뇌 회로’를 밝히고, 이를 통해 의사선택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대기 중 빛 흩어짐과 그 세기에 대한 새로운 가설 규명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4년 간의 지상 기반 관측 및 미세먼지 모델링을 통해 PM2.5 농도와 선형편광도 감소 사이의 명확한 정량적 관계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초저전력으로 AI 연산 수행하는 뉴로모픽 하드웨어 개발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팀이 초저전력으로 인공지능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뉴로모픽(Neuromorphic) 하드웨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결정적 성능 감소 메커니즘 규명
전기·정보공학부 이재상 교수 공동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이재상 교수 공동연구팀이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성능을 저하시키는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 이산화탄소-에틸렌 전환 촉매 성능 향상 원리 규명
화학부 임종우, 황윤정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임종우, 황윤정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물질인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고효율 전기화학 촉매의 변화를 나노미터 수준에서 실시간으로 관측했으며, 촉매 표면에서 형성되는 ‘2가 이온 구리상’의 형성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절개 수술 없이 뇌질환 안전하게 치료하는 미세 충격파 전자약 개발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 연구팀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ㆍ의과대학 최형진 교수 공동연구팀이 절개 수술 없이 뇌질환을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비침습적 미세 충격파 전자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린란드 빙하에 상세히 기록된 백두산 화산대폭발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 연구팀
지구환경과학부 안진호 교수 연구팀이 미세한 화산재를 분석해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백두산 천년분화의 폭발 간격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식물 뿌리 표피에서 세포 분포 패턴의 진화
생명과학부 조형택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조형택 교수 연구팀이 식물의 뿌리털 분포 패턴과 진화적 기원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통해, 뿌리털 분포가 어떻게 다양하게 진화해왔는지를 밝혀냈다고 밝혔다.

남극 얼음 질량 (2003-2020) 변화 원인 규명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자료를 수학적 최적화 기법으로 융합하여, 남극 얼음 질량 변화를 높은 해상도로 파악하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