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인간 뇌 발달 과정에서의 유전체 3차원 구조와 후성유전체 변화 규명
의학과 이동성 교수 공동팀
의학과 이동성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간 뇌 후성유전체 발달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영구동토층, 뒤늦은 탄소중립 달성 이후에도 탄소 배출 지속... 기후 완화 노력에 ‘빨간불’
지구환경과학부 국종성 교수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국종성 교수, 박소원 박사, 문진혁 석사과정 연구팀은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NUST) 이한나 교수, NORCE 기후 및 환경 연구소 Norman J. Steinert 박사, 연세대 안순일 교수,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 신종수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탄소중립 혹은 역배출을 뒤늦게 달성하더라도 영구동토층의 탄소 배출이 지속될 것임을 밝혔다. 이 연구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되었다.

Early to Mid-Holocene Land Use Transitions in South Asia: a new archaeological synthesis of potential human impacts
Jennifer Bates 교수팀
We are currently facing a global climate crisis of unparalleled scope and scale. The human role in this is clear – we are a key factor in the changes on our planet. In recent years climate scientists have been terming this new era the Anthropocene, to denote the human (‘anthropos’) driver of change.

셀레콕시브의 Prokr1 활성화를 통한 산화 근섬유 형성 촉진 및 근육 기능 개선 효과
국제농업기술대학원 박중훈 교수팀
근육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악액질, 근감소증 및 근육 저널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1월 30일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다양한 화학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양자화학 퍼텐셜 함수 모델 개발
약학대학 이주용 교수팀
본 연구에서는 반경험적 양자역학 계산을 기반으로 한 반응 경로 샘플링 기법을 개발하여, 전이 상태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화학적 구조를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Foldseek-Multimer로 생명체의 분자 기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다
생명과학부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팀
서울대학교 마틴 스타이네거(Martin Steinegger) 교수 연구팀은 제네바 대학교 에마뉘엘 레비(Emmanuel Levy) 교수 연구팀과 협력하여 "Foldseek-Multimer"(foldseek.com)를 개발하고 Nature Methods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부드러운 몸체에서 강력한 힘 내는 소프트 로봇 기술 개발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연구팀이 고무와 같이 부드러운 재료로 이뤄진 로봇 몸체가 빠르고 강한 동작을 구현하는 ‘초탄성 토크 역전 매커니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골의 노화와 퇴행성관절염, 단백질 당화에 원인이 있었다!
생명과학부 김진홍 교수팀
생명과학부 김진홍 교수 연구팀이 연골 보조 영양제의 과도한 섭취가 관절염을 악화할 가능성을 확인하고, 당 생물학과 연골 노화에 따른 염증 반응의 연관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간암 상피세포와 자연살상세포의 결합을 조절하는 새로운 간암 치료제 개발
약학대학 이정원 교수팀
본 연구결과는 2025년 1월 네이처(Nature) 誌를 발행하는 네이처 포트폴리오(Nature Portfolio) 출판사의 생화학분자생물학(313개 저널 중 3위 랭크) 및 세포생물학 (5/205) 분야 최고 국제학술지인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 (Impact factor, 40.8, 2023 JCR)]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실리콘 스핀 큐비트 에너지 잡음의 수동 및 능동 억제
물리천문학부 김도헌 교수팀
본 연구를 통해 반도체 양자점 큐비트 소자의 전하센서에서 오는 잡음을 줄이고, 큐비트에 영향을 주는 저주파 잡음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며 그에 따른 주파수 되멁임 (피드백)을 가함으로써 큐비트의 제어 충실도와 정확도를 크게 향상하였다.

생명의 비대칭성, 클립 모양 분자로 그 기원을 설명하다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은 분자 클립을 이용해 생명체의 단일 카이랄성 기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