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그 많던 동해안 명태는 어디로 갔을까?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 연구팀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 연구팀은 명태가 사라진 시기에 급격한 해류변화와 수온상승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비만에 의한 지방 노화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진이 노화지방세포의 축적은 지방조직 염증반응 및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킴으로써 대사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

폐암 악성화의 생물학적 기전 규명
약학대학 이호영 교수 연구팀
약학대학 이호영 교수 연구팀은 폐암을 중심으로 환자 조직 분석, 공공 데이터베이스 분석 등을 통해 ninjurin1의 폐암의 발생 및 악성화에서의 역할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차세대 이차전지 하이-니켈 양극 소재의 합성 비밀 풀어
재료공학부 강기석 ·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 연구팀
공대 강기석·박정원 교수 연구팀은 리튬이차전지 차세대 양극 소재로 전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하이 니켈(high-Ni) 양극 소재의 합성 비밀을 밝혀내고, 저품질 합성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감염환자에서 유발되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 규명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팀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팀이 코로나19 환자의 인지 및 정서장애의 원인이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의한 해마 내 신경세포의 사멸 때문이란 사실을 밝혀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발병 기전 규명
치의학대학원 정지훈·박지운 교수 공동연구팀
치대원 정지훈 교수, 박지운 교수, 의대 오범조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구강작열감증후군과 구강미생물총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C1형 니만-피크 질환의 치료제 발굴 및 기전 규명
수의과대학 강경선 교수팀
수의과대학 강경선 연구팀이 C1형 니만-피크 질환을 표적으로 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인 SAHA 및 HNHA의 새로운 표적 단백질 동정 및 기전을 제시했다.

짧은 시간에 큰 힘을 낼 수 있는 소프트젤 액추에이터 개발
재료공학부 선정윤-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선정윤-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 연구팀은 벽돌도 깰 만큼 큰 힘을 짧은 시간에 낼 수 있는 소프트젤 액추에이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히치하이킹 행동의 분자 기전을 밝히다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이 예쁜꼬마선충의 히치하이킹 행동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IL2 신경세포의 특성을 결정해 주는 조절인자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치주인대를 재생하고 치아에 단단하게 부착하게 하는 치주질환 치료물질 제시
치의학대학원 박주철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박주철 교수 연구팀은 치아발생과정의 치아상피에서 발굴한 CPNE7 단백질이 사람 치주인대 세포의 조직화와 배열을 조절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