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치사율 높은 비브리오패혈증균 연구 결실 맺어, Trends in Microbiology 리뷰 논문 게재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 연구팀이 치사율이 높은 병원균인 비브리오패혈증균의 발병 메커니즘에 대한 리뷰 논문을 미생물학 분야 권위지에 게재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지방세포 분화의 새로운 유전자 발견
수의과대학 조제열 교수 연구팀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조제열 교수 연구팀이 건강한 초기 지방분화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대사질환 극복의 가능성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생체시계 텔로미어에 존재하는 네 가닥 G4 구조의 비밀
생명과학부 이현숙 교수, 화학부 김성근 교수 공동 연구팀
생명과학부 이현숙 교수와 화학부 김성근 교수 공동연구팀이 BRCA2 결손 암에서 나타나는 텔로미어 이상의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안전한 뇌 신호 측정 위한 세계 최고 성능 하이드로겔 미세전극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 poly(styrenesulfonate) (PEDOT : PSS)에 레이저를 조사할 시 국소적으로 고분자 내부의 구조가 변하는 상 분리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군 내 여러 군집의 존재발견 및 그 원인 메커니즘 밝혀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
묵인희 교수 공동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환자 내에는 각기 형질이 비슷한 환자 하위 군집들이 자가포식 작용의 차이에 의해 존재하며, 이는 환자 맞춤형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결과 라고 밝혔다.

세계 최대 탄소배출 국가의 탄소 흡수량 규명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공동연구팀이 대기의 온실가스 농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량을 거꾸로 산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지방세포 제어를 통한 체온조절기능 규명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진은 추위 노출 시 지방세포의 열생산 제어기능을 HIFα가 매개함으로써 적정 수준으로의 체온 유지가 가능함을 최초로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딥 러닝 기반 패스웨이 분석 방법론 개발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 연구팀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팀은 생물학적 인자의 복잡한 비선형적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패스웨이 분석을 할 수 있는 방법론 ‘DeepHisCoM’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인간 막 단백질들의 진화 원리 규명
생명과학부 윤태영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윤태영 교수 연구팀이 자기집게 기술을 이용하여 최초로 복잡한 막 단백질인 포도당 수송체 단백질의 접힘 과정을 규명하였고 밝혔다.

따뜻하거나 차가운 음료 섭취시, 구강내 자연치아와 금니 치료된 치아에서 실시간 온도 변화의 특성 연구
치의학대학원 서덕규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서덕규 교수 연구팀은 구강내 변화 및 질환 발생의 기전을 규명하는 데 활용 될 구강 내 온도변화에 대한 최초의 과학데이터를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