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바이러스에서 찾은 RNA 안정화 서열로 바이러스 퇴치한다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은 대량 시퀀싱 기술을 이용해, 바이러스의 RNA 안정성과 단백질 생산을 증가시키는 RNA 염기서열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깊게 숨겨진 행성 탄생의 신비, ALMA로 찾다
자연대 이정은 교수, 사범대 권우진 교수 공동 연구팀
자연대 이정은 교수, 사범대 권우진 교수 공동 연구팀이 칠레 ‘ALMA’ 전파망원경으로 태아별을 관측해 행성 생성 장소인 원반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항생제 장기 처방이 폐암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 있을 수 있다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항생제 장기 사용이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하였다.

새로운 당뇨병 약제의 심부전 억제 효과 및 기전 입증
의과대학 석승혁, 이해영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학 석승혁, 이해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가장 최근 개발된 당뇨병 약제인 SGLT2 억제제와 SGLT1/2 이중 억제제가 심부전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심장보호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인류의 지하수 남용으로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졌다고?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팀이 여러 요인들에 의한 자전축 변화를 관측값과 비교하여 지하수 고갈이 해수면 상승의 주요한 원인임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으로 온실가스를 예측하다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전기자동차에 고성능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장비를 장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온실가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랩(움직이는 실험실)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상온에서 활용 가능한 액체 금속 기반의 신축성 솔더링 기법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상온에서 활용가능한 액체 금속 기반의 신축성 솔더링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다이아몬드의 단단함과 유연함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 연구팀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 연구팀은 다이아몬드의 극한 압력 하의 전자구조 영상화를 통한 초경도의 원인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Foldseek 을 이용한 빠르고 정확한 단백질 구조 검색
생명과학부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연구팀은 기존 대비 10만배 속도가 향상된 초고속 단백질 구조 검색엔진 “Foldseek”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리보솜 유래 펩타이드 항생물질의 발견과 특이적 C-N 결합 생성 생합성 과정 규명
약학대학 오동찬 교수, 화학부 김석희 교수 공동연구팀
약학대학 오동찬 교수, 화학부 김석희 교수 공동연구팀이 스트렙토마이시스 박테리아로부터 리보솜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발굴하고,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