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아프리카 토착소 교잡에 대한 유전적 추론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 생명과학부 정충원 교수 공동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 생명과학부 정충원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대 야생소를 비롯한 아프리카 토착소 28개 품종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그동안 풀지 못했던 아프리카소의 유전적 기원을 해독하였다고 밝혔다.

생체 리프로그래밍으로 ‘재생 줄기세포’ 생성과 소장 재생 기전 밝혀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 공동연구팀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 공동연구팀은 소장에서 일어나는 조직 손상 후 형성되는 ‘재생 줄기세포’를 조직 손상 없이도 생체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직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고, 조직 손상 후 형성되는 ‘재생 줄기세포’의 형성 기전과 동일한 기전을 통해 형성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고 밝혔다.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밝혀낸 선형동물의 텔로미어 진화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공동연구팀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동물에서도 텔로미어가 자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

SARS_CoV-2 항원 특이적인 T 세포 및 B 세포의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및 분화 추적 방법으로 중증 진행과 관련된 면역조절과정 규명
의과대학 이창한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학 이창한 교수 공동연구팀이 중증 COVID-19 환자들에서 독특한 면역학적 특징을 밝혀냈다.

원자 단위로 얇은 ‘거미줄 탐침’으로 부작용 없이 뇌 신경신호를 기록한다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팀이 원자 단위로 얇은 그래핀과 육방정 질화 붕소 등의 2차원 물질을 사용하여 세상에서 가장 얇은 새로운 뉴런 탐침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채집된 샘플의 DNA 분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3D프린터로 제작 가능한 곤충 채집 트랩(WET) 개발
농생명공학부 이승환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이승환 교수 연구팀은 비행간섭트랩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샘플의 부패 및 DNA의 분해와 관련된 요소들을 구조적, 물리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고 안전성, 고 이온전도성 신규 염화물 고체 전해질 개발 전략 제시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은 삼방정계 구조의 염화물 고체 전해질의 구조적 특성인 금속 이온의 조성 및 배치가 리튬 이온의 전도성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체 연구를 통한 코엔자임 Q 합성 경로 규명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포 내 에너지 생성의 중심인 코엔자임 Q (CoQ) 합성에 필수적인 단백질 RTN4IP1(OPA10)의 중요성을 밝혔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