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지문의 역할 규명
물리천문학부 박건식 교수팀
지문은 손가락의 수분을 조절하는 미세 유체역학적인 통로로 초기 수분의 과다에 관계없이 손가락과 손가락이 닿는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최대가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

‘피부에 착’ 붙어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개발
서울대 홍용택 교수팀
인간 피부에 완전히 밀착해 체온으로 자가발전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배터리 없는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키는 등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

형광공명에너지전이를 이용한 나노케이지 크기 규명
화학교육과 Junhua Yu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Junhua Yu 교수 연구진은 은 나노닷의 형광공명에너지전이를 이용해 나노케이지의 크기를 밝힌 연구가 ACS Insights Korea 주요연구로 선정되었다고 전했다.

‘투명인간처럼’ 위장 가능한 전자 피부 개발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팀
기계항공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공각기동대〉같은 SF 영화에서 주로 볼 수 있었던 투명 슈트를 연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심장 수술 안정성 높일 인공 근육 형태의 초소형 유연 구동기 개발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 연구팀
서울대 기계공학부 박용래 교수팀이 인공근육 형태의 초소형 유연 구동기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수소 시대 앞당길 광합성 원리 모방한 망간 물 산화 촉매 개발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연구팀이 미래 에너지로 손꼽히는 수소 생산 및 이산화탄소 환원을 통한 연료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AI 학습 및 추론 수행시 기존 대비 22배 빠른 님블(Nimble) 시스템 개발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이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학습과 추론 수행시 기존 시스템 대비 최대 22배 빠른 님블(Nimble)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Post-리튬 이차전지 개발해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게재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이 Post-리튬 이차전지를 개발해 학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 논문은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11월 2일자로 게재되었다.

이온-고체 표면의 전기적 상호작용 규명
화학생물공학부 김연상 교수 연구팀
물의 순환 과정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이 주목받는 가운데, 에너지 준위 변화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