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이광수 ‘무정’·中 루쉰 ‘아Q정전’ ‘근대 수용 자세’ 어떻게 다를까

2011. 5. 25.

김윤식교수 평론집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

문학평론가인 김윤식(74) 서울대 명예교수가 평론집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문학동네)를 최근 펴냈다.

2009년 한 해 동안 각종 세미나와 문학제, 문예지 등에 발표한 글 12편을 모은 평론집에서 김 교수는 김동리·서정주·이광수·이병주·이호철·박상륭·김연수 등 여러 문인의 작품론을 통해 다국적 시대 한국 문학이 가는 길을 살펴본다.

특히 ‘벽초와 이청준을 잇는 어떤 고리’라는 제목의 평론에서 김 교수는 홍명희의 ‘임꺽정’과 김은국의 ‘순교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이 어떻게 한국적 특수성을 뛰어넘는 보편성을 가지는지 고찰한다.

또 이광수와 이상, 이병주 등을 통해서는 다국적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의 고민을 끄집어낸다. 중국 작가 루쉰(魯迅)의 ‘아Q정전’과 이광수의 ‘무정’ ‘만영감의 죽음’을 통해 근대를 수용하는 두 문인의 유형을 비교 분석한다.

‘한국어로써 한국어 글쓰기의 넘어서기는 가능한가’에서는 소설가 김연수의 가능성을 주목하며 한국어와 국제어인 영어의 차이를 인식한 바탕 위의 글쓰기를 말한다.

“핏줄에서의 해방, 그것이 문학의 경우는 형언할 수 없는 언어에의 구속이라는 사실, 저마다의 언어가 지닌 설명할 수 없는 특질(정수)에 닿기 위해 초조해질 수밖에. 진짜 소통의 문제는 여기에서 오는 것이 아니겠는가”고 김 교수는 진단했다.

‘샤머니즘의 우주화, 우주화된 샤머니즘’은 박상륭 작가의 소설 ‘잡설품’에 대한 김 교수의 독후감이다. ‘잡설품’을 다섯 번 읽고 썼다는 이 글에서 김 교수는 한국적 샤머니즘에 문학의 뿌리를 둔 김동리의 제자였던 박상륭이 스승의 지방성을 세계성으로 극복했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김 교수가 “내 글쓰기의 숨구멍”이라고 밝힌 유럽한국학회(AKSE) 참가기에서는 네덜란드 라이덴에서 열린 한국학 연구 모임을 통해 세계 속 한국 문학의 위상을 살펴본다.

서울대학교 연구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