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연구란 무엇일까? 언론정보학과 문화연구랩은 그중에서도 세계화와 디지털문화가 교차하며 만들어내는 초국적인 문화영향력의 흐름과 새로운 문화형식, 그것의 소비과정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문화적 힘에 대해 연구한다. 한류는 이러한 연구 영역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사례로서 지난 7년간 문화연구랩의 집중적인 연구대상이 되었다. 2013년에 출판된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시대의 한류>는 동아시아에서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현상이 시작되어 동아시아 각국의 한류 드라마 수용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이미 인터넷 팬네트워크를 통해 한국드라마가 번역되어 전 세계에서 스트리밍으로 소비되며 팬덤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밝힌 연구이다.
이 책에서 제기된 한류 현상에 연관된 인종과 젠더 등 사회학적 문제들은 지속적으로 흥미로운 대중문화 현상을 생산하고 있고, 가장 최근의 BTS현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연구 문제들을 케이팝과 BTS에 심층 적용할 수 있었다. 세계의 변방에서 탄생해서 전 지구적인 대중문화 아이콘으로 성장한 BTS는 케이팝의 혼종적 정체성의 가능성을 여러 측면에서 극대화하고 있다. BTS는 첨예한 경쟁 속으로 내던져진 신자유주의 세계 경제 속 청년 세대의 고민을 대변하고,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디지털 문화로 무장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거대한 전 지구적 팬덤을 형성하게 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BTS가 전 세계의 청년들에게 젠더적으로 해방적인 참조 대상이고 인종적으로 동아시아인을 역능화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화연구랩의 또 다른 연구 대상은 한류현상과 한국의 디지털 문화 속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문화형식들이다. 아프리카 TV의 ‘먹방’과 한국 텔레비전 속 음식프로그램들은 어떤 다이내믹스 속에서 현재의 재현체계를 형성했고 왜 이토록 확장되는가? 한국 텔레비전을 여전히 핵심적인 대중문화의 장소로 유지시켜주는 예능프로그램의 특정 형식들은 어떤 사회적 역동성 속에 있고, 이 포맷이 수출되어 외국에서 가공될 때 어떤 요인들이 개입하는가? 한국인 없는 케이팝과 케이드라마에서 ‘K’의 내용은 무엇일까? 남성 뷰티 유튜버는 기존의 이성애 가부장적 남성성을 변화시키는가? K-뷰티의 핵심인 미백 장치는 무엇으로 구성되었고 어떤 권력 효과를 생산하는가?
문화연구랩의 또 다른 관심사는 어떻게 디지털 흔적을 사용자의 문화실천이 드러난 문화연구의 데이터로 활용할 것인지, 그리고 비쥬얼라이제션(Visualization)과 같은 데이터 과학의 도구를 문화연구에 활용할 것인지와 같은 방법론적인 것이다. 이런 관심사 속에서 문화연구에서 활용되던 전통적인 질적방법론에 영상방법론을 새로 도입해 여러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다. 서울의 정체성이 어떤 풍경의 형성을 통해 경험되는지에 대한 영상방법론적 연구, 재난 시 트위터 영상공유의 내러티브 구조를 분석한 바 있고, 특히 지난 20년간 출판된 한국어와 영어 한류연구 논문에 대한 지식연결망 분석은 한류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학술적, 비학술적 요인들과 한류연구 장의 행위자 분석 작업을 보여주어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과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 속 중요성이 점증하면서 한류연구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영어권 대학의 한국 대중문화 외국 연구자가 한류 국제 컨퍼런스에서 영어가 아닌 한국어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한류연구의 세계적 저변이 확대되면서 한류연구의 수월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교육과 연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