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서울대 소식 / 뉴스

보도자료

뉴스 /

보도자료

2024년도 상록농업생명과학대상ㆍ학술상ㆍ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4. 12. 10.

2024년 11월 27일(수) 11시부터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무궁화홀에서 2024년도 상록농업생명과학대상·학술상·교육상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올해로 32회를 맞이한 상록농업생명과학대상은 농생명 과학 분야 교육과 연구 활동 증진을 위해 1991년 당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장이었던 故 한인규 명예교수의 기금 출연으로 현재까지 이어져 교육·연구·사회봉사 등 큰 업적을 이룬 교수를 선정하여 매년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농업생명과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남다른 열정, 땀과 노력, 헌신으로 큰 업적을 이룬 교수에 대한 예우를 표하고, 이러한 노력을 대우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어진 시상식에는 수상자인 한재용, 곽효원, 최진용 교수 외에도 유홍림 총장 및 본부 보직 교수, 대학(원)장, 명예교수를 비롯한 120여명에 달하는 인원이 참석하였으며 음악대학 성악과로 구성된 학생들의 축하공연도 함께하여 시상식을 더욱 빛내주었다.수상자 선정 과정에서 여러 명의 우수한 교수들이 후보자로 추천되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2단계에 걸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수상자가 선정되었다.

□ 수상자 명단

○ 상록농업생명과학대상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한재용 교수

·공적사항:
한재용 교수는 1991년 본교 부임 이래 축산분야를 첨단 생명공학기술과 접목하여 동물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과 획기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지난 30여년 동안 한결같은 학문적 열정을 바탕으로 조류 형질전환 기술과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확립하여 모델동물 개발, 달걀생체반응기 시스템 확립, 그리고 조류 줄기세포 및 생식세포 분화연구를 통한 독보적인 성과를 이루었고 국내에 동물생명공학이 뿌리 내리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2008년에는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사업을 통해 바이오모듈레이션 전공을 농생명공학부에 유치하여 여러 학문 분야가 융합된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농생명공학을 진화시키는데 일조하였다. 또한, 2015년부터는 리더(창의)연구단에 선정되어 “조류 생식세포 제어 및 복제 연구단”을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SCI/SCIE 논문 240여편의 논문 발표와 31여건의 산업재산권을 확보하였고 37명의 박사와 43명의 석사를 배출하여 동물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을 주도함으로써 큰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한재용 교수는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학내 및 대외 활동도 활발히 하였다. 2007년 농생대 연구부학장을 맡아 새로이 분리된 연구행정실의 안정적 정착과 행정효율화에 기여하였고, 동물자원과학과 학과장, 목장장, 바이오모듈레이션 사업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외적으로는 한국가금학회장,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장, 바이오그린 21사업 가금연구단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편집위원장 외에 다수의 국제논문 편집위원 등으로 봉사하였다. 2014년 제10차 아시아태평양가금학회(APPC) 학회를 유치하여 조직위원장으로서 성공적으로 국제학회를 개최하였으며, 현재 국제적으로 생명공학기술 활용 멸종위기 조류 복원 컨소시움에 참여하여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국무총리표창, 100주년 세계가금학회 (WPSA) 학술상, 대한민국 학술원상,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육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술상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림생물자원학부 곽효원 교수

·공적사항:
곽효원 교수는 2019년 본교 부임 후 환경재료과학 전공의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여 왔다. 그동안 “친환경공정 연구실”을 운영하면서, 6명의 석사를 배출하고, 현재 박사과정 4명 및 석사 과정 5명의 대학원생과 연구 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본교 부임 후 Carbohydrate Polymers, Cellulose, Advanced Fiber Materia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를 포함한 국내외 저널에 83편 (SCI 79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학술대회 발표 130여건, 등록특허 3건 등의 성과를 이루어내면서 환경재료과학 분야 발전 및 우수한 학문 후속세대 양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서울대학교 창의선도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산림청 목재자원의 고부가가치소재 개발사업을 포함한 34개의 연구과제도 수행한 바 있다. 곽효원 교수는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교내외 보직 수행 및 위원회 활동도 활발히 수행하였다. 현재 환경재료과학 전공주임, 농업생명과학정보원 원장, 농업생명과학대학 기획위원회 위원 역할을 수행하며 환경재료과학전공 및 농업생명과학대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BK21 FOUR 농림생물자원 창의인재양성사업단 운영위원, 한국목재공학회 기획, 재무이사 역할을 수행하며 학문 교류와 발전을 위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BK21 농림생물자원 창의인재양성사업단 우수지도교수상, 한국고분자학회 신진학술상, 한국잠사학회 신진학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상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최진용 교수

·공적사항:
최진용 교수는 2005년 본교에 임용된 이후, 농공학(농업토목) 분야에서 농업수리학 및 농촌용수, 기후변화 영향 그리고 정보 융합 분야에서 탁월한 교육과 연구성과를 이루었으며, 그 성과를 학부와 대학원 교육에 접목하고 교육의 현장성 강화와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학생 역량의 세계화에 노력하였다. 또한 개발도상국에 ICT를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 기술 보급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학생의 국제적인 안목과 세계적인 학문적 수월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학부과정에 지역수자원시스템공학(5272.325)과 지역수자원시스템실습(5272.326) 과목을 개설하고 해외 견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대학원에서는 글로벌농업수자원특강을 개설하여 세계의 농업관련 수자원활용과 기후변화 영향에 대하여 강의하였다.최진용 교수는 농공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rrigation and Drainage (80개의 회원국, UN-Water Partner, 본부:인도 뉴델리) 부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세계적인 교육 및 학술 활동에도 역량을 발휘하였으며, 관련 연구 분야 두 개의 국제적 학술지 Editor를 맡아 학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관련학회 및 분야의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최진용 교수의 중요한 업적은 본교 부임 이후 기후위기 및 식량안보에 취약하여 농업용수 개발과 관리가 필요한 개발도상국에 관개배수 기술을 전파하기 위한 교육과 강의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으며, 이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관개기술 향상으로 식량안보 확보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온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아프리카와 아시아 저개발 국가의 농업 및 관개배수분야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위하여 25 여회 직접 방문하고 조사하여 우리나라의 공적개발원조사업을 통한 대상국가의 농업생산기반정비 및 관개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왔을 뿐 아니라 개발도상국 수자원관련 공무원 교육에도 매진하여 현지 및 초청연수에 20여회 이상 강의와 교육을 진행하여 대학내 교육뿐 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ICT를 통한 농업수자원관리 기술을 개발도상국의 물관리 기술 개선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