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서울대 소식 / SNU 캘린더

전체 행사

SNU 캘린더 /

전체 행사

예술문화연구소 제160회 목요콜로키움 – 외국인 저명학자 초청 강연

2025.05.01.

안녕하세요.

이번 서울대학교 미학과 예술문화연구소 목요 콜로키움은 < 외국인 저명학자 초청 > 프로그램으로, 독일예나대학교의 클라우스피베크 교수님이 오셔서 강연을 해주실 예정입니다.
구성원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예술문화연구소 제160회 목요콜로키움 – 외국인 저명학자 초청 강연>

* 일시 : 2025년 5월 1일 오후 4:00 - 6:00

* 장소 : 서울대학교 신양인문학술정보관(4동) 3층 302호

* 발표자 : Klaus Vieweg(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 발표주제 : Hegels Ästhetik der Malerei – Die Wiederentdeckung der niederländischen Malerei des Goldenen Zeitalters (헤겔의 회화 미학 – 네덜란드 회화의 황금기에 대한 재발견)

* 통역 : 정대성 (연세대학교)

* 강연 개요
헤겔은 17세기 후반 네덜란드의 초상화, 풍경화, 장르화 등을 현대적인 회화로 보았는데, 헤겔의 이런 미학적 평가는 19세기 들어 네덜란드 회화가 근본적으로 재평가 받고 복권되는 데에 기여했다. 헤겔은 후기 네덜란드 화파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통해 후기 네덜란드 회화에 대한 미학적 정당화를 도모했으며, 이 회화가 지닌 근대성의 근거를, 이 회화가 예술의 혁명임을 평가할 근거를 찾으려 했다. 고대(고전주의)나 기독교 중세(후기 낭만주의)의 미화에 반대하면서 근대성의 예술로, 즉 자유로운 예술 내지 자유로운 정신성의 예술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논조가 그의 예술 철학에 나타난다. 헤겔은 철학과 미술사를 결합했다는 의미에서 현대 회화 미학의 정립자로 볼 수 있다. 또한 헤겔은 미술 전문가들과 함께 미술사를, 그리고 후기 네덜란드 화파가 일으킨 혁명을 바라볼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선구자로 볼 수 있다.

* 강연자 약력
독일 예나 대학교(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에서 독일 고전주의 관념론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시애틀, 프라하, 피사, 빈, 멕시코시티, 교토, 도쿄, 로마, 상하이, 발파라이소, 산티아고, 베이징 등 여러 도시에서 연구 및 강의를 하였다. 헤겔 철학의 근본 문제 의식을 자유에 대한 사유로 이해하고 이러한 그의 철학이 갖는 현대적 의미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실천적 자유 철학은 물론 회의주의의 역사 및 이론에 관해 여러 성과를 남겼고, 헤겔은 물론 독일관념론자들의 저서와 강의 필기록을 고증하고 편집하는 작업을 활발히 수행하였다. 2022년 독일 바이에른 주에 위치한 뮌헨 프라이징 대주교 아카이브에서 헤겔의 철학 체계 전반을 아우르는 여러 강의를 수강한 카로베(F. W. Carové)의 필기록 단편이 대거 발견되었는데, 이 자료가 헤겔 강의의 기록이라는 것을 공식 확인하고 5000여 페이지에 이르는 이 수고의 출간을 위한 책임 편집자 역할을 맡고 있다. 근래에는 17세기 네덜란드 회화의 의미를 재발견한 헤겔의 미학 사상을 다룬 연구서를 출간하였다.

* 강연자 주요 저서
- 『Hegels Ästhetik der Malerei: Die niederländische Landschafts- und Genremalerei des 17. Jahrhunderts (헤겔의 회화 미학: 17세기 네덜란드 풍경화 및 장르화)』 (2025)
- 『Anfänge – Eine andere Geschichte der Philosophie (시작. 또 하나의 철학사)』 (2023)
- 『Hegel. Der Philosoph der Freiheit (헤겔. 자유의 철학자)』 (2019) [우리말 번역 작업 중]
- 『Das Denken der Freiheit – Hegel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2012) (정대성 역, 『자유란 무엇인가: 헤겔 법철학과 현대』, 도서출판 길, 2019)

* 발표자료
파일 첨부



*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참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