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2025학년도 에너지신산업 테마연구회 참여 인원 모집
2025학년도 에너지신산업 테마연구회 참여 인원 모집
서울대학교 에너지신산업 혁신융합대학사업단에서 ‘2025학년도 테마연구회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설명회는 약 1년간의 테마연구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지도교수님과 대학원생 멘토가 각 연구실의 주제를 소개하고 운영 계획을 안내하는 시간입니다.
학생들은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실에 테마연구회 내용 및 일정과 관련하여 상담할 수 있고, 궁금한 점을 자유롭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사전 신청 이벤트도 마련되어있사오니 관심 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이번 설명회는 약 1년간의 테마연구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지도교수님과 대학원생 멘토가 각 연구실의 주제를 소개하고 운영 계획을 안내하는 시간입니다.
학생들은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실에 테마연구회 내용 및 일정과 관련하여 상담할 수 있고, 궁금한 점을 자유롭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사전 신청 이벤트도 마련되어있사오니 관심 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테마연구회?
– 혁신융합대학에서 지도교수님 및 대학원생 멘토와 함께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심화 연구를 수행하는 활동
– 활동 기간: 2025년 4월 ~ 2025년 12월
– 신청 기간: 2025년 4월11일까지 각 연구실로 제출
– 참여 혜택: 연구 결과의 학회 발표, 전문가 멘토와의 연결, 활동비 지원 등
※ 연구실마다 다르며, 자세한 사항은 지도교수님과 상의하여 결정.
2. 테마연구회 설명회
– 일시: 2025년 4월 2일(수) 오전 11시 ~ 오후 2시
– 장소: 서울대학교 38동 5층 포이어홀(로비)
– 이벤트
① 사전 신청하면 부스 하나만 방문해도 “김밥” 증정!
② 부스를 방문할 때마다 지급되는 스탬프를 모으면 기념품 제공!
(상세내용 현장안내)
– 사전신청 참여방법

QR코드 접속(https://forms.gle/zugWDP5SGUbomZbm7)하여 사전 신청
※ 사전 신청 마감: 4/1(화) 오후 5시
3. 지도교수님 및 테마연구회 주제
① 강정신 교수: Mg 금속을 이용한 인니산 NPI로부터 Ni의 선택적 추출공정 개발
② 민동주 교수: 딥러닝 및 수치해석 기법 활용 광케이블 자료 처리: 탐사 설계 최적화 및 잡음 제거
③ 조용채 교수: 육상 탄성파 탐사를 활용한 DMZ 인근 지하 공동 탐지의 최적 탐사 방법 도출
④ 전석원 교수: 국내 텅스텐 광산 재해 예방을 위한 AI기반 미소파괴음 판별 연구
⑤ 박형동 교수: 신재생에너지 저장: 최적 입지와 실현 가능성 탐구
⑥ 허은녕 교수: 금값이 왜 이래?: 치솟고 있는 금값을 움직이게 만드는 원인 분석
⑦ 송재준 교수: 암반 내 균열 발생과 성장을 모사한 차세대 균열망 모델링 기법 연구
⑧ 민기복 교수: 물리정보신경망 기반 지오메카닉스 응용
4. 주관 및 주최
– 서울대학교 에너지신산업 혁신융합대학사업단
5. 문의
– jhk4515@snu.ac.kr / 02-880-1516
– 혁신융합대학에서 지도교수님 및 대학원생 멘토와 함께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심화 연구를 수행하는 활동
– 활동 기간: 2025년 4월 ~ 2025년 12월
– 신청 기간: 2025년 4월11일까지 각 연구실로 제출
– 참여 혜택: 연구 결과의 학회 발표, 전문가 멘토와의 연결, 활동비 지원 등
※ 연구실마다 다르며, 자세한 사항은 지도교수님과 상의하여 결정.
2. 테마연구회 설명회
– 일시: 2025년 4월 2일(수) 오전 11시 ~ 오후 2시
– 장소: 서울대학교 38동 5층 포이어홀(로비)
– 이벤트
① 사전 신청하면 부스 하나만 방문해도 “김밥” 증정!
② 부스를 방문할 때마다 지급되는 스탬프를 모으면 기념품 제공!
(상세내용 현장안내)
– 사전신청 참여방법

QR코드 접속(https://forms.gle/
※ 사전 신청 마감: 4/1(화) 오후 5시
3. 지도교수님 및 테마연구회 주제
① 강정신 교수: Mg 금속을 이용한 인니산 NPI로부터 Ni의 선택적 추출공정 개발
② 민동주 교수: 딥러닝 및 수치해석 기법 활용 광케이블 자료 처리: 탐사 설계 최적화 및 잡음 제거
③ 조용채 교수: 육상 탄성파 탐사를 활용한 DMZ 인근 지하 공동 탐지의 최적 탐사 방법 도출
④ 전석원 교수: 국내 텅스텐 광산 재해 예방을 위한 AI기반 미소파괴음 판별 연구
⑤ 박형동 교수: 신재생에너지 저장: 최적 입지와 실현 가능성 탐구
⑥ 허은녕 교수: 금값이 왜 이래?: 치솟고 있는 금값을 움직이게 만드는 원인 분석
⑦ 송재준 교수: 암반 내 균열 발생과 성장을 모사한 차세대 균열망 모델링 기법 연구
⑧ 민기복 교수: 물리정보신경망 기반 지오메카닉스 응용
4. 주관 및 주최
– 서울대학교 에너지신산업 혁신융합대학사업단
5. 문의
– jhk4515@snu.ac.kr / 02-880-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