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SNU
[영상설명 시작] 한 학생이 서울대학교 도서관으로 걸어가는 모습을 여러 각도에서 보여줍니다. 한국적인 건축미를 가진 규장각 위로, 한 마리의 새가 날아갑니다. 연구실과 미술학과 작업실 등에 불이 켜지고 사람이 타고 있는 투명한 엘리베이터가 올라가는 등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지나가는 셔틀버스 뒤로 등교하는 학생들이 보입니다. 연구실, 실험실, 작업실의 사람들이 바쁘게 하루를 보내는 인서트 컷이 짧게 보이고 음악대학 오케스트라가 연습을 시작합니다. 서울대학교 구성원이 걸어가는 뒷모습이 다양한 배경, 다양한 사람으로 빠르게 교차하여 보입니다. 코딩 화면이 보이고,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학생이 보입니다. 천문대에서 관측하는 학생위로 수많은 별이 지나갑니다. 연구실 기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연구자와 실습생들의 강렬한 눈빛을 보여줍니다. 강의실의 대형 화면 앞에서 강의하는 교수님이 보입니다. 한 건물의 로비 쉼터에 있는 여학생이 창밖을 보고 햇살이 비춥니다. 한국적 건축양식을 가진 처마와 하늘이 보이고 여러 건물들의 모습이 보이며 그 위로 새가 두마리 날아갑니다. 미식축구학생들이 훈련을하고, 미술대학 학생이 그림을 그리고, 응원단원들이 군무를 하며 이에 많은 학생들이 호응합니다.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스포츠 대회를 즐기고, 패션쇼 모델이 강렬한 눈빛을 보인 후 학생 디자이너들이 인사를 하고 박수갈채를 받습니다. 운동장에 있는 서울대학교 '샤' 로고에 그림자가 비치며 하루가 끝나감을 보여줍니다. 일렁이는 물 위로 샤정문이 비친 모습이 보입니다. 샤정문이 보이고 해가 지며 하늘색이 어두워지다가 어느 순간 샤 정문에 불이 켜집니다. 그 위로 'A New Tomorrow Begins' 자막이 나타난 후 서울대학교 정장이 나타납니다.[영상설명 끝]

지금 서울대학교에서는 지금 서울대학교에서는

연구성과 배부름을 느끼게 하는 비밀, 서울대 연구진이 찾았다! 배부름을 느끼게 하는 비밀, 서울대 연구진이 찾았다! 뇌인지과학과 최형진 교수 연구팀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 치료제가 체중을 줄이는 원리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서울대뉴스 서울대학교, QS 세계대학평가 31위 및 취업능력 표창 수상 서울대학교, QS 세계대학평가 31위 및 취업능력 표창 수상 서울대학교가 2025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에서 세계 종합 31위(아시아권 6위, 국내 1위)에 올랐다. 연구성과 지구온난화로 가열되는 바다, 탄소중립 실현으로 식혀야 지구온난화로 가열되는 바다, 탄소중립 실현으로 식혀야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팀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면 해양열파의 강도와 지속시간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대뉴스 폐지 수집 어르신의 작품을 굿즈로 만나보는 시간 폐지 수집 어르신의 작품을 굿즈로 만나보는 시간 글로벌사회공헌단 학생사회공헌단 주최로 폐지 수집 활동의 가치를 알리고 폐지 수집 어르신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부스 이벤트가 진행됐다. 서울대뉴스 함께 만들어 가는 ‘학부대학 설립 릴레이 포럼’ 함께 만들어 가는 ‘학부대학 설립 릴레이 포럼’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학부대학 설립을 앞두고, 상반기 총 5차례의 릴레이 포럼이 진행됐다. 다양한 구성원과 함께한 3, 4, 5차 학부대학 설립 릴레이 포럼 현장을 소개한다. 서울대뉴스 씨네21 편집장과 함께한 영화비평 이야기 씨네21 편집장과 함께한 영화비평 이야기 기초교육원 글쓰기센터가 주관한 ‘예술계 글쓰기 특강’의 하나로, 씨네21 편집장이 '영화의 별자리: 읽고 쓰고 말하는 영화, 영화비평'을 주제로 영화비평 글쓰기 강연을 진행했다. 서울대뉴스 신입생 위한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 대학생활문화원 CMP‧SMP 신입생 위한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 대학생활문화원 CMP‧SMP 학생들이 대학 생활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대학생활문화원의 네트워크 역량개발 프로그램, 신입생 멘토링(CMP), 외국인 학생 멘토링(SMP)을 소개한다. 연구성과 카이랄 나노구조를 이용한 새로운 단일광자원 구현 카이랄 나노구조를 이용한 새로운 단일광자원 구현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ㆍ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원형 편광된 단일 광자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단일 광자 발생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서울대뉴스 “나의 욕망에서 나를 구해줘”, 서울대학교미술관에 다녀오다 “나의 욕망에서 나를 구해줘”, 서울대학교미술관에 다녀오다 서울대학교미술관의 “Protect Me From What I Want - 예술, 실패한 신화” 전시가 지난 5월 26일(일)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연구성과 패턴인지형 차세대 뉴로모픽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패턴인지형 차세대 뉴로모픽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인간의 후각 수용체와 뉴로모픽 소자를 결합한 차세대 인공 후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물의 증발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반도체 나노채널에서의 멕센 광열 강화 에너지하베스팅 효과 물의 증발 및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반도체 나노채널에서의 멕센 광열 강화 에너지하베스팅 효과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물질의 전자 이동과 전해질 이온의 맞물림 현상을 이용해 에너지를 수확하였으며, 2차원 물질인 Mxene의 태양광 흡수 특성 을 활용해 전력 생산을 증대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서울대뉴스 대학생활문화원과 함께하는 몸과 마음의 회복 시간 대학생활문화원과 함께하는 몸과 마음의 회복 시간 학생회관(63동) 5층에 자리한 대학생활문화원(이하 대생원)은 학내 구성원들의 마음과 몸의 건강을 책임지는 지혜로운 동반자이다. 대생원은 체계적인 심리상담, 역량개발, 위기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학생들에게 학교적응, 대인관계, 학업, 정서적 불안 등의 여러 문제에 대해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서울대학교 캘린더 서울대학교 캘린더

섹션명

[환경대학원]ESG 전략 해커톤 및 제4회 ESG Youth Forum 정규포럼 참가자 모집 안내 [환경대학원]ESG 전략 해커톤 및 제4회 ESG Youth Forum 정규포럼 참가자 모집 안내 06.29.(토)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ESG Youth Forum은 ESG 인재 양성 부문 산학 협업을 제고하고자, 미디어 산업의 ESG 권위자들을 학외에서 초청하여 패널토론을 운영하고 ESG ... [보건진료소]"체중관리를 위한 건강한 식사법" 보건진료소 x 식품영양학과가 준비한 서울대학교 건강증진 프로젝트 [보건진료소]"체중관리를 위한 건강한 식사법" 보건진료소 x 식품영양학과가 준비한 서울대학교 건강증진 프로젝트 07.01.(월)여름방학을 맞이하는 지금, 체중을 조절하려면 어떤 식사가 도움이 될지 같이 알아볼까요? [기초교육원]영어 글쓰기교실 워크숍 안내 [기초교육원]영어 글쓰기교실 워크숍 안내 07.01.(월) ~ 07.25.(목)기초교육원에서 영어 글쓰기교실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SAPI Colloquium]"비상 상황 하의 제도, 정치적 리스크 및 주(州) 정부 행동에 관한 분석" [SAPI Colloquium]"비상 상황 하의 제도, 정치적 리스크 및 주(州) 정부 행동에 관한 분석" 07.01.(월)서울대학교 인공지능 정책 이니셔티브(SAPI)와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가 공동주최하는 올해의 세 번째 SAPI Colloquium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