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화학부 석차옥교수 연구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 3차원 구조 완성
화학부 석차옥 교수 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는 데 첫 관문을 뚫기 위해 사용하는 단백질이 바이러스 표면에 붙어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Stone-Base Illusion - 우리나라 전통 덤벙주초 구조에서 착시
심리학과 오성주 교수
덤벙주초는 자연에 놓인 돌멩이 그대로 기둥을 받치는 주초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찰이나 한옥에서 찾기 쉽다.

사파이어 나노 구조물을 활용한 차세대 micro-LED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윤의준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재료공학부 윤의준 교수 연구팀이 100 nm 두께의 구조물 (이하 사파이어 나노 멤브레인)을 활용해 고효율 micro-LED (Micro- Light-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주사백신의 어려움을 극복한 먹이 백신 개발'
수의과대학 박세창 교수 연구팀
인구 증가 및 수산 자원의 고갈 등으로 양식의 중요성 증대. 경제성 위주의 밀집 사육으로 집단 질병 발생 및 그로 인한 피해의 증가.

'염증성 장질환들을 그래핀으로 치료하는 획기적 방법 제시'
수의대 강경선 교수 연구팀
최근 생활양식의 변화 등의 이유로 국내에서도 궤양성 장염과 크론병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백수오 유전자검사법 오류에 대한 과학적 검증 네이처 자매지에 게재
식물생산과학부 양태진 교수 연구팀
‘가짜백수오 사태’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은 물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백수오 유전자검사명령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하는 내용의 논문을 네이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에 2020년 4월 9일자에 박현승 박사 제1저자로 게재하였다.

무당벌레 모사 점핑-글라이딩 로봇 개발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연구팀
국방생체모방 자율로봇 특화센터 조규진 교수팀이 무당벌레를 모사한 종이접기 기반 구조와 이를 활용한 로봇을 개발했다.

세계 첫 코로나19 정복을 위한 밑그림 그려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장혜식 교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

뇌전증 발작 위험 실시간 감시하는 뇌 센서 개발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석좌교수) 연구팀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 연구팀 뇌 포타슘이온 농도 측정해서 살아있는 생쥐 발작정도 관찰. 뇌전증, 치매 등 뇌질환 정밀 진단 기대.